KIDRS

논문검색

논문제목포스터 여백에 나타나는 시각과 상징 유형에 관한 연구-동양 커뮤니케이션 포스터를 중심으로
영문A Study of the Visual and Symbolic Types that Appear in the Blank of Posters-Focusing on East Asian Communication Posters
저자무심아,양재범첨부파일
초록
본 연구는 국제그래픽연맹에 실린 1960~2017년의 동양 디자이너의 작품에서 무작위로 6명 디자이너의 8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Kostelnick, C. & Roberts, D.(1998)의 시각적 언어 분류학을 적용하여 포스터의 시각적 유형을 분석하였고 또한,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 2단계 모델을 사용하여 포스토의 상징적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적 표현의 경우 동양 포스터 디자인에서 내부(Intra) 유형은 자연적 형상(본상)을 나타났다. 사이(Inter) 유형은 주체적 조형물 사이에 남겨둔 여백이고 이는 공간감을 나타냈다. 여분(Extra) 유형은 여백을 배경으로 하고 기호학에서의 휴지 공간과 같다. 상징 유형의 경우 동양에서 기표(Signifier), 기의(Signified)는 ‘도(Virtue)'로 표현되고 함축의미는 디자이너의 내면과 문화 관념을 나타냈다. 둘째, 동양 포스터에서 동양 여백은 불교의 '공(空)'사상, 유교의 '중용(中庸)'사상, 도교의 '무위(無爲)'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동양의 여백은 조형 기능 외에 감성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작품의 사상 주제를 표현할 수 있다. 셋째, 동양 포스터의 조형 기능에서 여백은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 여백은 조형과 결합하여 불완전한 효과를 만들어낸다. 또한, 화면 속 평면적인 특징으로 인해 여백과 모양을 함께 조형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